통계청 '2022 국민 삶의 질 보고서'...저소득층일수록 낮은 수준
한국 삶의 만족도 OECD 38개국 중 36위…10점 만점에 5.9점통계청 '2022 국민 삶의 질 보고서'...저소득층일수록 낮은 수준
2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 국민 삶의 질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지난 2019∼2021년 기준으로 집계한 주관적 삶의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5.9점으로 집계됐다. OECD 평균치(6.7점)는 물론, 인접한 일본(6.0점)보다도 낮았다. 국보다 삶의 만족도 점수가 낮은 나라는 튀르키예(4.7점)와 콜롬비아(5.8점) 2곳뿐이었다. 가장 높은 곳은 핀란드와 덴마크였다.
인구 10만명당 자살로 인한 사망자 수를 뜻하는 자살률은 2021년 기준 26.0명으로 전년보다 0.3명 늘었다. 특히 70대(41.8명)부터는 인구 10만명당 자살자가 40명을 넘었고, 80세 이상에서는 61.3명으로 급격히 치솟았다.
아동학대피해 경험률은 2021년 아동인구 10만명 당 502.2건으로 2020년(401.6건)보다 약 100여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 이후 급격한 증가추세를 보인 이후 2021년엔 전년대비 가장 크게 증가했다.
저출산·고령화에 따라 지난해 독거노인(65세 이상) 비율은 20.8%를 기록했다. 2000년 16%에서 2005년 17.3%, 2010년 18.5%, 2020년 19.8% 등 지속 증가하는 모습이다. 지난해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901만8000명으로 2000년(339만4000명) 이후 2.7배 증가했다. 이 중 독거노인은 지난해 187만5000명으로 2000년(54만3000명)보다 3.5배 늘었다.
고용 상황은 더 나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고용률은 전년보다 1.6%포인트 증가한 62.1%로 2000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저작권자 ⓒ CRS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댓글
|
많이 본 기사
Trend & View 많이 본 기사
인생은 신과 같이 할 때 날고, 사람과 같이 할 때 뛰고, 자기 혼자 할 때 기어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