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 부지 확보 요청, 30% 비율 농지를 산업연구용지로 전환 논의도
정의구현사제단. 전북도청서 새만금 생태계 복원 기원 월요미사기업들 부지 확보 요청, 30% 비율 농지를 산업연구용지로 전환 논의도
천주교정의구현전주교구사제단(이하 사제단)이 새만금 해수 유통과 생태계 복원을 촉구하며 매주 월요일 전북특별자치도청 앞에서 미사를 봉헌하기로 결정했다.
사제단은 2일 전북도청 앞에서 새만금 상시 해수유통과 생태계 복원을 염원하는 첫 미사를 열었다.
사제단은 “새만금개발청은 지난 11월 14일 새만금 기본계획 재수립 기본방향(안)에 대한 중간 보고회를 열면서 수질과 해양생태계 오염에 대한 대안도 없이 산업단지를 더 확장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면서 “다시 한번 전북도와 새만금개발청은 죽어가는 새만금의 해양생태계를 복원하고 수질 문제를 해결하라는 어민과 지역 시민사회의 요구에 귀 귀기울여야 한다”고 요구했다.
사제단은 지난 7월부터 해창 갯벌에서 시작된 월요 미사를 통해 새만금 생태계 복원의 중요성을 알리고, 관련 기관에 정책 변화를 촉구해 왔다. 하지만 전북도와 새만금개발청 등이 시민사회의 목소리에 충분히 응하지 않자, 더욱 적극적인 행동에 나서기로 한 것이다.
사제단은 전북도청 앞에서 열리는 미사를 통해 새만금 해수 유통의 필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 관련 기관에 정책 변화를 촉구할 계획이다. 또한, 시민들의 참여를 유도하여 공동의 목소리를 높여나갈 예정이다.
새만금 사업은 1987년 대선 당시 노태우 후보가 ‘새만금 공약’을 발표했고, 1991년 11월 방조제 공사 시작, 2006년 4월 물막이 공사가 완료됐다. 물을 막고 매립이 이뤄지면서 ‘단군 이래 최대 간척산업’은 끝난 듯했지만 그렇지 않았다.
새만금 총면적은 409㎢(약 1억2400만평) 규모로 서울의 3분의 2, 여의도 141배에 달한다. 공사가 시작된 지 30년이 넘은 지금도 전체 간척 예정지의 47.1%(137㎢·2022년 기준)만 매립을 완료했다. 2020년까지 총 개발면적의 43%를 개발하는 1단계 사업이 종료됐고, 지금은 2021년부터 2030년까지 총 개발면적의 78%를 개발하는 2단계 사업이 추진 중이다.
김대중 정부 시절까지만 해도 내부토지개발 기본구상은 농지가 100%였으나 노무현 정부가 들어서면서 농지 72%, 비농지 28%로 수정됐다. 이후 이명박 정부가 들어서면서 2011년 3월 새만금 종합개발계획이 확정되면서 농지 30%, 비농지 70%로 완전히 바뀌었다. 현재 전북도와 새만금개발청은 기업들이 부지를 더 확보해달라고 요청하면서 30% 비율인 농지 일부를 산업연구용지로 전환하는 논의도 검토 중이다. <저작권자 ⓒ CRS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
많이 본 기사
모바일 상단 구글 배너
|